미국 정부가 결국 제너럴모터스(GM)를 파산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는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가 이르면 다음주 안에 GM의 파산보호를 신청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22일 보도했다. 소식통은 미 정부가 GM을 파산시킨 뒤 300억 달러의 공적자금을 추가 투입해 경쟁력있는 기업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이라고 전했다.
계획대로라면 GM에 투입되는 공적자금 규모는 모두 450억 달러로 늘어난다. 하지만 소식통은 추가 공적자금 규모와 파산보호 신청 시기는 유동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미 정부는 이미 파산보호 절차를 받고 있는 크라이슬러를 다음주 중 파산 보호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속전속결로 진행되는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은 일견 최선의 방법처럼 보이지만 속도만 강조하는 탓에 채권단과 판매상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어 반발을 사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GM 납품업체들도 GM의 파산이 자신들의 연쇄 도산으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앞서 미 정부는 구조조정을 거친 GM의 지분 50%를 보유하고 9명의 이사회 멤버 중 4명에 대한 지명권을 갖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GM의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인 전미자동차노조(UAW)는 퇴직자 건강보험기금 100억 달러를 포기하는 대신 GM 지분 39%를 보유하게 된다.
한편 미 재무부 소식통은 GM의 자구책 제출 시한인 다음달 1일까지는 GM을 파산시킬 계획이 없다며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