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에서는 먼저 법정관리인인 박영태 쌍용차 상무와 이유일 전 현대차 사장이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된 배경과 현재 상황, 향후 경영 정상화 방안 등을 설명했다.
이어 조사위원으로 선임돼 기업 가치를 정밀 실사했던 삼일회계법인이 쌍용차가 유지될 경우의 미래 수익을 따진 계속기업가치가 1조3천276억원으로 청산가치 9천386억원보다 4천억원 가량 더 많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채권자들은 자신이 신고한 채권이 제대로 반영돼 있는지 확인한 뒤 회사 측에 신차 개발 등 회사 정상화를 위한 추가 자금 마련 방안을 집중적으로 물었다.
박영태 관리인은 "지난 3월 평가기관의 자산실사를 받은 결과, 담보 여력이 3천300억 정도 있다는 결론이 나와 이를 바탕으로 산업은행을 통해 담보 대출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쌍용차 노조원들은 채권자 자격으로 법정에 나와 상하이차의 책임 문제를 제기하며 근로자에게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을 폈다.
이유일 관리인은 이에 대해 "2천646명의 감축안을 발표했는데 지금까지 회피 노력을 기울였고 이미 1천400명의 퇴직이 확정됐다"며 "채권단의 희생을 강요하며 채무자인 우리가 뼈를 깎는 희생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노조와 대화를 계속하되 감축 숫자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재판부는 쌍용차에 인력 감축을 포함한 구조조정안과 추가 운영자금 마련 방안 등을 담은 회생계획안을 작성해 9월15일까지 제출할 것을 정식으로 명령했다.
재판부는 쌍용차가 회생계획안을 마련해 내놓으면 채권단이 회생계획안을 받아들일지 결정할 2ㆍ3차 관계인집회를 소집할 예정이다.
법원 관계자는 "첫 집회의 의미는 경과보고 정도에 불과하다. 다음 집회 때까지 쌍용차가 회생 조건인 구조조정과 추가 자금 마련을 할 수 있을지가 채권단의 회생계획안 동의 여부에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