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이유일 공동관리인은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법 별관 청사에서 열린 채권단 등 이해관계자 집회에서 "정리해고를 회피하려는 노력을 나름대로 기울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회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유휴인력 규모가 전체의 37% 가량인 2천646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정리해고와 별도로 희망퇴직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전날에도 200∼300명 가량이 퇴직을 신청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쌍용차는 퇴직금 등 구조조정 관련 비용 및 신차 개발비를 마련하기 위해 산업은행을 통해 담보대출을 추진하고 있다.
박영태 공동관리인은 "지난 3월 실시된 평가기관 자산 실사 결과 회사의 담보 여력이 3천300억원에 이르고 있다"며 "일시적으로 부족한 자금을 보충하기 위해 산을 통해 담보대출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쌍용차는 금융권을 통해 구조조정 비용 1천억원과 신차 개발자금 1천500억원 등을 지원받으면 구조조정 및 회사 정상화 방안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쌍용차는 이날 집회에서 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안을 제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회사측은 "계획안 제출 시한인 올해 9월15일까지 시간이 주어진 만큼 채권자와 이해관계인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행 가능성 있는 회생계획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 "단기적으로는 인적 구조혁신을 포함한 경영체질 개선작업과 자산 조기 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복지혜택 축소나 순환휴직, 희망퇴직 등 해고 회피 노력에도 불구하고 잔여 잉여인력에 대해서는 계획대로 정리해고를 추진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