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주택공사는 3일 국내 최초로 공동주택 설계 전과정에 3차원 설계(BIM) 시스템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설계는 기존 2차원 설계방식에 비해 이해하기 쉬워 현장의 시공 담당자와 협력업체 기술자간 원활한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설계오류 및 공종별 간섭사항 등 시공상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수정할 수 있어 공사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차원 모델링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근 분쟁이 자주 발생하는 일조, 조망 등에 대한 면밀한 사전검토가 가능하다.
주공은 국내 최초로 공동주택설계 모든 분야에 BIM설계를 적용하기 위해 이미 지난해 8월 양주회천 공공임대주택 A1블럭(1501가구)의 단위세대에 부분적으로 BIM설계 시범적용을 마쳤다. 또 BIM설계분야 기술력 확보에 노력해 왔다.
![]() |
||
BIM설계 방식 적용 사례. |
올해는 BIM설계 조성단계로 파주운정3지구내 3개 블록 및 울산다운2지구 1개 블록, 총 4개 블록을 선정하고 그 중 1개 블록에 대해 단위세대를 포함한 단지 및 부대복리시설 등 설계 전과정에 BIM설계를 시범적용한다. 3개 블록은 외관에 대해 일부적용한다. 2010년부터는 타 지구에도 단계적으로 확대적용 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부 주공 주택사업1처 처장은 "국내 최초로 공동주택 BIM설계를 적용하는 만큼 주공이 축적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품질향상과 원가절감을 달성하겠다"며 "2011년 이후에는 전체지구에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