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비정규직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국내은행들의 비정규직 비율과 차별이 여전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정규직 1만7773명, 비정규직 8058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중 무기계약직이 6414명, 아직 전환이 안된 비정규직이 1644명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비율이 2:1에 육박한다. 국민은행 전체 직원 3명 중 1명이 무기계약직을 포함한 비정규직인 셈이다.
단순하게 인원만 놓고 봤을 때도 국민은행의 비정규직은 무기계약직을 포함할 경우, 주요 은행 중 가장 많다.
농협이 정규직 직원 1만7920명, 비정규직 5325명을 고용하고 있어 직원 4.6명 당 1명이 비정규직이다.
각각 7945명의 정규직과 2483명의 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는 하나은행과 7160명의 정규직, 2475명의 비정규직을 고용한 기업은행이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
신한은행은 정규직 1만1066명, 비정규직 2013명을 고용했으며 외환은행은 5692명의 정규직에 1809명의 비정규직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급여를 비롯해 전반적인 복지혜택에 있어서도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가 가장 큰 곳은 신한은행과 농협으로 신한은행의 정규직 초임은 3800만원인 반면 비정규직은 2400만원을 받아 1400만원의 차이가 났다.
농협은 정규직이 3200만원, 비정규직이 1800만원을 받아 역시 같은 폭의 임금차가 발생했다.
외국계인 SC제일은행과 HSBC, 씨티은행 등은 정규직원 초임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비정규직에 대한 서러움은 복지 혜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신한은행은 무주택 직원에게 7000만~1억원 한도에서 임차보증금을 2년간 지원하고 유치원 3년간 월 10만원, 중·고·대학교 등록금을 100% 지원하고 있지만 비정규직은 이같은 혜택에서 제외된 상태다.
외환은행을 비롯해 HSBC, SC제일은행 등 외국계은행 역시 각각 비정규직에 대한 자녀 학자금 지원을 대폭 축소하거나 아예 지원하지 않고 있다.
기업은행과 국민은행은 경조사비나 의료비 등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를 두지 않고 있다.
노동계는 과거에 비해 금융권의 비정규직 종사자들에 대한 복지수준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라며 보다 많은 비정규직자들을 무기계약자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방하남 노동연구원 박사는 "시장이나 시스템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고용구조 자체가 선진국에 비해 후진적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할 것"이라면서 "비정규직에 대한 보장을 늘리고 업무와 승진에 있어서도 간격을 좁히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