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총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일각에서 거론되는 중수부 폐지론과 관련, "부정부패수사는 계속 강화돼야지, 약화되는 쪽으로 가서는 절대 안된다. 중수부 폐지론은 전혀 동의 못하며 중수부가 폐지되면 우리나라는 부패공화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총장은 "중수부를 폐지하면 누가 좋아할지 생각해 보라. 중수부는 일반 서민을 수사하는 곳이 아니라 정치인 등 권력자와 재벌을 수사한다"며 "중수부 수사가 제대로 되길 바라는 사람이 정치권에 단 한 명이라도 있다고 생각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법무부와 검찰의 관계를 `갈등과 긴장'이라 표현한 뒤 "어떤 바보같은 사람이 총장으로 와도 수사는 건드리지 말라고 발톱을 세운다"며 "원래 법무부와 검찰은 그런 관계이고, 그게 건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임 총장은 "정권교체기의 총장직은 엄중하고 무거운 자리이자, 치욕까지 감내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1년6개월 동안 이쪽에서 흔들고, 저쪽에서 흔들고 참 많이도 흔들었다"며 "내가 말하는 '치욕'은 이렇게 흔들리면서 마치 자리에 연연해 하는 것처럼 비쳐지는 것을 뜻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권교체기에 총장이 되면 참 골치 아프겠다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대단히 어려운 자리였다"며 "끊임없이 결정을 하는 자리인 데다 내 위치가 보-혁, 전 정권과 현 정권, 전 대통령과 현 대통령의 중간지점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 총장은 "사표를 내고 나니까 가슴 속에 꽉 막혔던 것이 탁 터지는 것 같았다"는 말로 그간의 고뇌를 표현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