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법 시행 유예기간을 둘러싼 여야간의 협상이 끝내 결렬됐다.
여야 3당의 환경노동위 간사는 법 시행을 하루 앞둔 30일 오후 10시부터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만나 최종 협상을 벌였지만 서로간의 입장 차이를 끝내 좁히지 못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선진과 창조 모임 상임위 간사는 이날 낮에도 2시간여에 걸친 협상을 벌였지만 타결점을 찾지 못했다.
이번 협상에서 한나라당은 어려운 경제 사정을 감안해 300인 이하 사업장만 2년을 유예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6개월, 선진과 창조 모임은 1년 6개월 유예가 필요하다고 각각 주장했다.
정치권의 이번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7월 1일부터는 사용기간 2년이 된 비정규직 근로자들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의무적으로 정규직 전환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최근의 경기침체로 많은 기업들이 정규직 전환을 해줄 수 없는 상황이라, 비정규직 대량 해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