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에서는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대응이 이번 사태의 전개방향을 결정짓는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삼구 회장이 28일 긴급 이사회를 열어 박찬구 회장을 해임하자 박찬구 회장 측은 이사회 의장인 박찬구 회장이 참석하지 않은 이사회는 무효라며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박삼구 회장 측이 부랴부랴 기자회견을 열어 두 사람의 동반퇴진을 기정사실화 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동반퇴진 결정을 박찬구 회장 측이 받아들인다면 이번 형제의 난은 조기에 진화되겠지만 만일 박찬구 회장이 동반퇴진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이 최대주주로 있는 금호석유화학의 계열분리를 추진한다면 자칫 형제간의 지리한 경영권 싸움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박찬구 회장과 아들 박준경 금호타이어 부회장이 보유한 금호석유화학의 지분은 18.2%로 최대주주이다. 그러나 박삼구 회장과 아들 박세창 상무의 지분도 11.77%로 적지 않다. 여기에 고 박정구 회장의 장남인 박철완 아시아나항공 부장의 지분 11.77%와 고 박성용 회장의 장남인 박재영 씨의 지분 4.65%를 더하면 박삼구 회장 측의 지분은 28.18%로 박찬구 회장 측의 지분보다 10%가까이 많아진다.
실제로 박삼구 회장은 28일 이사회에서도 자신의 지분과 박철완 부장과 박재영 씨 등 가족들 지분을 더해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를 열고 박찬구 회장을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삼구 회장을 비롯해 금호아시아나 일가는 전날 열린 가족회의에서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회의에서는 창업주 박인천 회장의 2남 고 박정구 회장의 미망인 등 가족들이 그룹의 ‘형제승계’ 전통을 깨버린 4남 박찬구 회장의 돌출행동을 강도 높게 질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박찬구 회장도 전혀 무기가 없는 것이 아니다. 만일 법적대응을 통해 28일 이사회를 무효화할 수 있다면 22%에 달하는 자사주를 바탕으로 형과 경영권 분쟁을 벌일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지만 박찬구 회장이 이사회 의장 겸 대표이사로 경영권을 확보하면 백기사에게 자사주를 넘겨 의결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경영권 분쟁을 벌일 수도 있다.
아주경제= 이형구 기자 scaler@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삼구 회장이 28일 긴급 이사회를 열어 박찬구 회장을 해임하자 박찬구 회장 측은 이사회 의장인 박찬구 회장이 참석하지 않은 이사회는 무효라며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박삼구 회장 측이 부랴부랴 기자회견을 열어 두 사람의 동반퇴진을 기정사실화 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동반퇴진 결정을 박찬구 회장 측이 받아들인다면 이번 형제의 난은 조기에 진화되겠지만 만일 박찬구 회장이 동반퇴진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이 최대주주로 있는 금호석유화학의 계열분리를 추진한다면 자칫 형제간의 지리한 경영권 싸움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박찬구 회장과 아들 박준경 금호타이어 부회장이 보유한 금호석유화학의 지분은 18.2%로 최대주주이다. 그러나 박삼구 회장과 아들 박세창 상무의 지분도 11.77%로 적지 않다. 여기에 고 박정구 회장의 장남인 박철완 아시아나항공 부장의 지분 11.77%와 고 박성용 회장의 장남인 박재영 씨의 지분 4.65%를 더하면 박삼구 회장 측의 지분은 28.18%로 박찬구 회장 측의 지분보다 10%가까이 많아진다.
실제로 박삼구 회장은 28일 이사회에서도 자신의 지분과 박철완 부장과 박재영 씨 등 가족들 지분을 더해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를 열고 박찬구 회장을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삼구 회장을 비롯해 금호아시아나 일가는 전날 열린 가족회의에서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회의에서는 창업주 박인천 회장의 2남 고 박정구 회장의 미망인 등 가족들이 그룹의 ‘형제승계’ 전통을 깨버린 4남 박찬구 회장의 돌출행동을 강도 높게 질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박찬구 회장도 전혀 무기가 없는 것이 아니다. 만일 법적대응을 통해 28일 이사회를 무효화할 수 있다면 22%에 달하는 자사주를 바탕으로 형과 경영권 분쟁을 벌일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지만 박찬구 회장이 이사회 의장 겸 대표이사로 경영권을 확보하면 백기사에게 자사주를 넘겨 의결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경영권 분쟁을 벌일 수도 있다.
아주경제= 이형구 기자 scaler@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