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번호이동 건수가 5, 6월 사상 최대를 기록하다가 7월 들어 30% 가까이 감소했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달 휴대전화 번호이동 건수는 총 89만1138건으로 지난달 124만9765건에 비해 28.7% 떨어졌다.
올해 들어 월간 번호이동 건수는 1월 35만1386건, 2월 40만5566건, 3월 66만4670건, 4월 83만9011건을 기록했다.
5월과 6월에는 각각 119만7507건과 124만9765건으로 두달 연속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달 1일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과도한 마케팅 자제 권고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여전히 010 신규 시장에서 보조금 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규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업자 중에서는 SK텔레콤이 7월 번호 시장에서 강세를 이어갔다.
SK텔레콤은 지난달 KT로부터 23만5177명, LG텔레콤으로부터 12만5695명의 고객을 끌어왔다. 총 36만872건의 번호이동으로 점유율 40.5%를 기록했다.
KT는 SK텔레콤과 LG텔레콤으로부터 각각 23만3010명과 8만6152명의 고객을 유치해 35.8%의 점유율을 보였다.
LG텔레콤은 SK텔레콤과 KT로부터 각각 12만3048명과 8만8056명의 고객을 끌어와 23.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전체 번호이동 건수는 감소했지만 이통사들이 010 신규 가입 시장에 보조금을 집중하면서 여전히 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사들이 월초에 한 번만 실적이 발표되는 010 신규 시장에 보조금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번호이동보다는 010 신규로 가입할 때 수만원에서 수십만원까지 휴대전화를 싸게 살 수 있다.
업계에서는 7월 번호이동 시장이 줄었지만 010 신규 가입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진정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보기에는 이른 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주경제=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