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주요 지도자들이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일제히 애도의 뜻을 표시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공식 성명을 통해 "용감한 민주화와 인권 투사인 김 전 대통령의 서거에 애도를 표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의 역동적인 민주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운동을 일으키고 이끌어 오는데 목숨을 바쳤다"라고 덧붙였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총리도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김 전 대통령의 업적에 깊은 존경심을 표한다"고 말했다. 아소 총리는 이어 "김 전 대통령과 일본 정계 지도자들이 합심해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평가했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김 전 대통령 서거에 애도를 표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후 주석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낸 조전을 통해 애도를 표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친 대변인은 김 전 대통령이 "중국 국민의 가까운 친구였다"면서 중국 정부와 국민은 그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쏟아부었던 커다란 노력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 역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는 조문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냈다. 브라운 총리는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비통한 마음 금할 길이 없다"며 "김 전 대통령은 2000년도에 한반도 평화 조성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이날 조전을 통해 애도를 표시하며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업적은 잊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독일과의 오랜 인연으로 독일인들의 마음에 깊이 새겨져 있는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독일연방공화국은 좋은 친구를 잃었다"고 평가했다.
프랑스 정부는 베르나르 쿠슈네르 외교부 장관 명의의 성명을 통해 김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의 뜻을 표했다. 쿠슈네르 장관은 성명에서 "김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해 평생을 바쳐 지칠줄 모르고 투쟁한 용기있는 정치인이었다"면서 "또한 인권과 평화를 위해서도 헌신한 고인의 명복을 빈다"라고 애도했다.
아주경제= 신기림 기자 kirimi99@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