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2일(미국 현지시간)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중재안을 제시, 녹색성장 선도국가 리더로서의 외교력을 과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호주, 중국 등 26개국이 참여하는 유엔 기후변화정상회의 제1원탁회의의 공동의장으로서 회의를 주재하면서 개도국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행동(NAMA)을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등록하도록 하는 ‘NAMA등록부(Registry)’의 설립을 제안했다.
이는 개도국의 감축행동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두지 말자는 개도국의 입장과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자는 선진국 간의 접점을 찾기 위한 중재안이다.
이 대통령은 또 한국은 온실가스 의무 감축국은 아니지만 오는 2020년까지 중기목표를 설정하고 매년 국내총생산의 2%를 녹색기술에 투자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포스트(Post)-2012 기후체제는 개도국들이 스스로 실행하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국제적으로 인정하고 격려하는 체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이 대통령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주최로 열린 기후변화주요국 업무 만찬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녹색성장 전략을 통해 저탄소 기술개발에 과감히 투자하고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는다면 이 같은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뉴욕타임와의 인터뷰에서 “선진국은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한) 보유 기술을 후진국, 개발도상국에 공여할 의무가 있고, 개도국이 부담해야 할 비용도 감당할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 개도국, 신흥국을 설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신흥국, 개도국들도 기후변화 문제는 피해갈 수 없는 과제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 대응은 정치지도자의 의지와 많이 관련이 있다고 본다”며 “우리는 산업화, 정보화를 늦게 시작했기 때문에 녹색분야를 선도하는 국가가 되려 한다”고 역설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