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에서 명품과 고가 의류, 가구 등의 매출이 늘어나는 등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비지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소득자의 소비는 오히려 위축되면서 대형마트의 매출은 떨어지는 등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5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소비지출전망 CSI는 9월에 117로 전월의 114보다 3포인트 상승하면서 관련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작년 7월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100만원 미만 저소득자의 소비지출전망 CSI는 107에서 103으로 떨어졌다.
위기직후인 지난해 12월에는 500만원 이상 고소득가구의 CSI가 89로, 100만원 미만의 91보다 낮았으나 경기가 회복되면서 곧바로 역전됐다.
부자들의 소비심리 개선에는 자산가격 상승과 그 기대감이 적지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5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주택.상가가치 전망 CSI는 9월에 119로 전월의 116보다 3포인트 올라가면서 관련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 소득계층의 주택.상가전망 CSI는 지난 12월에 70으로 떨어졌으나 올해 3월 84, 5월 109, 7월 112 등으로 가파르게 올라왔다.
이 계층의 주식가치 전망 CSI는 120으로 1년전인 지난해 같은 달의 94보다는 26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100만원 미만 101 ▲100만원대 104 ▲200만원대 106 ▲300만원대 110 ▲400만원대 114로, 500만원 이상 계층보다 낮았다.
고소득층이 소비를 늘리면서 지식경제부가 집계한 3대 대형 백화점의 8월 동일점포 기준 매출 증가율은 7.6%로, 설 특수가 있었던 올해 1월(10.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백화점의 호조와 달리, 동일점포 매출을 기준으로 비교한 3대 대형마트의 8월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 위축됐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지난 5∼6월 이래로 VIP고객들이 선호하는 최고급 브랜드의 매출이 살아나기 시작해 증가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