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전기자동차 국내 양산시기를 당초 계획했던 2013년보다 2년 빠른 2011년 하반기로 앞당기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8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하에 현대∙기아차 기술연구소에서 개최된 비상경제대책회의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기자동차산업 활성화방안’을 발표했다.
전기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은 △배터리 등 전기자동차 핵심부품 기술개발 지원 △전기자동차 주행 및 안전기준, 충전시설 설치 기준 등 법∙제도 정비 △시범생산 및 도로운행 실증사업 지원 △공공기관 및 일반 소비자 대상 보급지원 등 크게 4개 분야로 구성됐다.
![]() |
||
또한 ‘15년 세계 전기자동차 시장의 10%를 점유하고, ’20년 국내 소형차의 10% 이상을 전기자동차로 보급하는 등 글로벌 전기자동차시장의 4대강국 지위를 선점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위해 우선 전기자동차 배터리개발 등에 550억원, 수송시스템원천기술개발 지원(’10년 정부안 885억원) 등 ‘14년까지 약 4000억원을 전기자동차에 지원할 방침이다.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개발 투자 비용을 세액공제 대상으로 인정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충전소 인허가 및 공영주차장∙공동주택 등에 배터리 충전시설 설치가 가능하도록 근거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백화점, 할인매장, 고속도로 휴게소 등 다중 이용시설에 충전소를 설치할 경우 비용의 일부를 저리로 지원키로 했다.
내연기관 차량(신차∙중고차)을 전기자동차로 개조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마련하고 기술지원, 법적근거 마련 등을 통해 중소업체의 전기자동차 개조도 지원키로 했다.
이밖에도 내년까지 전기자동차를 시범생산하는 업체에게는 차량개발비를 지원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조기생산을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
또 내년 하반기부터 수도권지역에서 전기자동차 실제 운행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점을 점검하는 실증사업도 실시한다.
2011년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이 전기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해 ’14년까지 3년간 2000대 이상 보급도 추진한다.
이와 관련, 김성칠 지경부 자동차조선과장은 “공공기관의 친환경차 의무 구매비율 상향조정, 전기자동차의 안정적 보급∙운영을 위한 발전소 및 충전시스템 등 전력 인프라 구축 등은 실증사업의 성과 및 보급예상대수 등을 감안해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