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5일 산업현장의 구인난과 청년 구직난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 “선진국처럼 산학연계형 ‘맞춤 직업·기술교육’을 통해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말한 후 “교육부와 노동부, 지식경제부가 이른 시일 안에 협의해 시스템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경제가 나아지고는 있지만 일자리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며 “1~2년 내 일자리 문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말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정치구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경기 낙관론에 기대 기업들이 일자리 창출 노력을 게을리 해선 안된다는 경고의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에 “일자리 창출을 위해 국회에서 서비스업 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관련 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경제운용 방향과 관련, “바닥 서민경제가 아직은 어려우므로 정부는 긴장의 끈을 늦춰서는 안 될 것”이라며 “신속한 재정 투입과 조기 예산집행 같은 총력전을 앞으로도 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또 “정부보증 신용대출을 늘리는 등 경기 회복에 주력해온데 대한 부작용이나 후유증도 나타날 수 있다”며 “도덕적 해이가 나타나지 않도록 금융감독기관이 철저히 관리, 지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