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떨어지는 업체, 낙동강 6개 공구 중 3~4개씩 몰아줘
경인운하에 이어 4대강 턴키사업 하도급 발주도 담합의혹이 일고 있다.
자유선진당 이재선 의원은 23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 열린 국토해양부 종합 국정감사에서 "4대강 사업 중 낙동강 6개 공구의 경우 한 지역 업체가 무려 4개 공구 하도급에 동시 참여하는 등 몰아주기 특혜가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지역 업체인 동양종합건설은 대구경북구간 6개 공구 중 22, 23, 30, 33공구 등 무려 4군데에 선정돼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성건설은 3군데, 진영종합건설은 2군데를 각각 하도급업체로 선정돼 몰아주기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는 6개 공구 43개업체중 3개 업체가 21%를 독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동양종합건설은 대구경북 지역의 올해 시공능력평가액에서 8위(1360억원)에 불과한 기업인데도 6개 공구 중 4군데다 선정된 반면 화성산업의 경우 같은 기간 6200억원으로 2위에 올랐지만 한 공구(22공구) 사업에만 선정됐고, 5위인 서한은 컨소시엄에 아예 참여하지도 못했다.
또 11위에 불과한 유성건설이 3군데, 한참 경쟁력이 떨어지는 진영종합건설이 2군데나 선정돼 지역건설업체 살리기 취지의 형평성에도 어긋나 동종업계로부터 특혜의혹을 사고 있다.
낙동강사업의 경우 6개 공구로 4대강 사업 턴키입찰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무 공동도급을 20%이상으로 확대하고, 지역업체 소재 기간 요건도 90일 이상으로 강화해 지역업체참여율이 26.8%에 이르고 있다.
이 의원은 "지역 업체 선정과정에서 특정업체에 지나치게 많은 기회를 준 반면 상대적으로 능력있는 일부 업체는 배제시키는 등 불합리한 선정에서 특혜시비가 일고 있다"며 "낙동강 6개 공구 중 3~4군데나 중복 선정된 지역 업체가 있다는 것은 시공능력과 무관하게 턴키입찰에서 가산점을 노린 술수일 수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경인운하를 비롯, 4대강 사업이 말로는 해당지역 건설경기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담합의혹과 부실문제 투성이로 가득하다"고 지적하고 "대구 경북지역의 낙동강상버처럼 한 업체에 몰아주는 것이 과연 지역건설 경기를 살리는 것인지, 4대강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며 재검토를 촉구했다.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 inche@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