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 상승하던 해외 주식형펀드 수익률도 다우지수가 10,000선을 내주면서 4주 만에 급락했다.
3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30일 기준으로 설정액 10억원 이상의 453개 국내 일반주식펀드의 주간 평균 수익률은 -1.24%를 기록했다.
중소형주펀드(16개)는 -2.56%,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108개)는 -2.61%, 배당주식펀드(33개)는 -1.89%를 나타냈다.
시장에 비해 운수장비 비중이 높은 일반주식펀드가 상대적으로 선방했고, 하락장에서 지수 방어 능력이 우수한 배당주식펀드 역시 양호한 편에 속했다.
펀드별로는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 대한 비중을 시장보다 높게 가져간 '미래에셋5대그룹대표주 1(주식)종류A'가 0.27% 수익률로 주간성과 1위를 차지했다.
'미래에셋인디펜던스주식형K- 2Class A'(0.26%), '미래에셋가치주 G 1(주식)종류A'(-0.01%)가 뒤를 잇는 등 미래에셋자산운용 펀드가 상위 7위까지 싹쓸이했다.
경제지표 호조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선전했던 해외 주식펀드는 달러화 반등에 미국 다우지수가 10,000선을 이탈하면서 주간 -4.95%로, 수익률 상승세에 급제동이 걸렸다.
유가와 금속가격 하락 여파로 러시아펀드(19개)가 -9.36%, 외국인 매수세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로 브라질펀드(21개)가 -8.91%로 떨어지며 해외주식펀드 수익률 하락을 이끌었다.
인도펀드(24개) 역시 정부의 조기 출구전략 가능성이 나오며 -5.37%, 중국펀드(121개)도 차스닥 개장을 앞두고 보호예수 해제 물량이 증가하면서 -3.46%를 보이는 등 브릭스 국가가 모두 부진했다.
'미래에셋Pan Asia컨슈머주식형 1(주식)종류A'가 -0.69%로 선방하면서 주간 성과에서 1위를 차지했다.
반면 러시아주식에 투자하는 '신한BNPP봉쥬르러시아 자(H)[주식](종류A 1)'는 -10.81%로 수익률 꼴찌였고, 유럽신흥국에 투자하는 '신한BNPP봉쥬르동유럽플러스 자(H)[주식](종류A 1)', '미래에셋맵스MSCI이머징유럽인덱스 1(주식)종류A'도 각각 -10.15%, -9.73%로 저조했다.
깜짝 3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에도 저가매수세 유입, 주식시장 조정으로 채권 값이 상승하면서 중기채권펀드 0.32%, 일반채권펀드 0.18%, 초단기채권펀드 0.06%. 우량채권펀드 0.21%, 하이일드채권펀드 0.20% 등 채권펀드는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반주식혼합펀드(67개)와 일반채권혼합펀드(209개)는 각각 -0.95%와 -0.42%의 주간 수익률을 올렸다./연합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