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수 금융위원장은 11일 금융규제 개혁의 가장 큰 과제는 금융기관 외환건전성 확보라고 강조했다.
진 위원장은 이날 세계경제연구원(IGE)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G20 개혁 과제: 향후 금융감독 및 규제방향' 컨퍼런스 특별연설에서 이같이 밝히고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과 관련 우리 실정에 맞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금융회사와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좋았지만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환율을 시장에 맡겨놓다 보니 외환시장이 크게 불안정해졌다"고 지적했다.
진 위원장은 "IMF의 말을 잘 듣는 모범국은 자본시장을 대외에 개방한 탓에 외환시장 불안정이 쉽게 야기된다"면서 "이같은 문제를 G20와 산하 금융안정위원회(FSB)에 강력히 제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화유동성 부족 문제와 관련 그는 "적절한 장치가 보완되지 않으면 신흥국의 외환보유액 확충 노력으로 글로벌 불균형이 심화할 수 있다"면서 "글로벌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진 위원장은 달러 전망에 대해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이 달러화인 만큼 달러가 건강해야 한다는데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가 지속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답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
그는 이번 위기로 "금융산업은 적절한 규제 아래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국제사회가 구축할 새로운 금융시스템은 더이상 과거와 같은 무모한 레버리지 확대와 위험추구를 용인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국제회계기준(IFRS)를 내년부터 도입하기로 결정했지만 회계규정이 선진국 중심으로 이뤄져있다"면서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면서 우리 실정에 맞게 하는 것이 과제"라고 밝혔다.
아주경제=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