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둘러싼 논쟁 소강국면

한나라당 '세종시 특위' 회의적 시각
세종시 소강국면 "논란자제하고 지켜보자"
정부, 수정안 마련에 박차

한나라당 '세종시 특위'가 지난 12일 첫 발을 뗀 이후, 특위의 역할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논란을 자제하고 당과 정부가 하는 일을 지켜보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정의화 한나라당 세종시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3일 한 라디오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특위는 (세종시 수정)안을 만든다기보다 13명 의원 개개인이 광범위한 여론 수렴을 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논란의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청도민을 비롯한 국민의 여론을 충분히 파악해 적극 반영하며 정부가 오판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하는 것을 조율하겠다는 취지다.

이 때문에 특위가 국민 여론을 수렴하기에 시간이 부족하고, 대안도 도출하지 않아 형식적 절차에 머무르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 의원은 "정부가 하는 대로 할 거면 당 특위가 무슨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나 세종시 기구 설치 이후, 당내 세종시 논란을 자제하고, 정부안이 나올 때까지 지켜보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특위 역할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당에서 하는 일에 왈가왈부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여전히 의원들 간의 입장차가 뚜렷하지만, 날선 공방은 피하자는 것이다.

박근혜 전 대표는 지난14일 경북 구미를 방문한 자리에서 세종시 문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제 생각을 분명히 다 얘기했다"며 더 이상의 언급을 하지 않았다.

자신의 '세종시 구상'을 재확인한 이상 이를 뒤집지도, 진전시키지도 않은 채 당분간 침묵을 지키겠다는 뜻이다.

한 친박계 의원도 "특위에 대해 말할 입장이 아니다. 세종시 수정안이 나올 때까지 지켜볼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정운찬 총리와 한나라당 원내대표단의 전날 만찬에서도 세종시 관련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당내 중도우파 성향 초선의원 모임인 '선진화를 추구하는 초선모임'도 "세종시 대안이 나온 뒤 논의하자"고 결정하는 등 논쟁을 자제하고 있다.

정부는 당 특위와 별개로 세종시 수정의 당위성을 설파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충청권의 민심을 살피고 설득하기 위해 현지 신문이나 방송이 주최하는 토론회에는 가급적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정부는 지난 13일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주재 세종시 정부지원협의회 2차 회의를 개최했다.

투자유치 활동상황 및 애로상황 보고, 녹색기업·연구소의 유치방안, 우수대학 및 중등교육기관 유치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왕기 총리실 공보실장은 "협의회는 의사를 결정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위원회에 상정될 안건을 각 부처, 의제를 발굴하고 아이디어를 사전에 구하는 차원"이라며 "여러 가지가 논의됐던 것은 사실이나, 아이디어 차원에서 논의된 것이고, 현실화된다던지 결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