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기구가 발주한 플라즈마 진단 분야 기술설계 용역 과제를 서울대 핵융합로공학 선행연구센터가 수주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과제는 ITER 국제기구가 중성자 진단장치의 현장 교정 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고강도·고집속 중성자원(Neutron Generator)을 개발코자 추진됐다. 내년말까지 연구비 1억3000만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수주는 지난해부터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국내 산업체와 연구기관이 ITER 국제기구 발주 용역사업을 수주하던 것과는 달리 대학이 처음으로 수주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교과부는 우리나라 대학도 기술적 역량과 국제 경쟁력을 갖추면 ITER 프로젝트에 광범위하게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ITER 진단장치는 핵융합을 일으키는 고온 플라즈마의 물리량을 측정해 핵융합 연소 반응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설치되는 부대장치다. 40여종의 독립적인 측정시스템들이로 구성된다.
이번 연구용역의 수행은 향후 ITER 국제기구에서 발주되는 핵융합 플라즈마 물리연구, 진단기술 개발, 가열과 전류구동 기술 개발 등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과 공학설계 과제에서도 국내 대학이 수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주경제=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