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펀드 채권형 '뜨고' MMF '지고'

지난해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저금리 정책이 지속되고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가 이어지며 채권형 펀드로 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기성 부동자금이 몰려 있는 머니마켓펀드(MMF)는 자금이 주식과 부동산 등 고위험, 고수익 자산으로 옮겨가며 지난해 1월 이후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금융투자협회와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전체 펀드 설정액에서 채권형 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1월 13.1%, 2008년 7월 10.8%, 2009년 1월 8.8%, 2009년 6월 10.6%, 2009년 말 현재 13.8% 등으로 작년 1월을 저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MMF 비중은 17.3%에서 17.7%, 28.2%, 27.7%, 21.5% 등으로 변동돼 2009년 1월 이후 비중이 6.7%포인트나 급락했다.

이 기간 주식형 펀드 비중은 39.8%, 40.0%, 36.6%, 36.5%, 37.8% 등으로 꾸준히 36~40% 선을 유지했으며, 주식·채권 혼합형 펀드 비중은 14.4%, 13.0%, 10.1%, 9.2%, 9.4% 등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이처럼 채권형 펀드로 자금이 몰린 것은 주식시장의 부침이 계속된 가운데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저금리 정책이 지속되고 투자 주체들의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MMF에서 돈이 빠져나간 것은 편리한 기능에 높은 이자를 제시한 증권사들의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 출시로 MMF의 인기가 떨어진데다, 부동자금도 점차 주식과 부동산 시장 등으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신한금융투자 펀드리서치팀 권정현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펀드시장은 채권형이 뜨고 MMF가 진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며 "정부의 저금리 정책 지속과 안전자산 선호현상 등으로 채권형 펀드로 투자자들의 돈이 들어온 반면 인기가 떨어진 MMF에서는 자금 이탈이 지속됐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