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졸업 뒤 실업을 경험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취업이 어렵다는 이른바 '낙인효과'가 실제 존재한다는 게 연구결과로 검증됐다.
강순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미리 공개한 '대졸자의 실업 경험의 낙인 효과'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밝혔다.
실업의 낙인 효과란 사용자가 직원을 뽑을 때 다른 조건이 같더라도 미취업 경험만으로 응모자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채용을 꺼리거나, 응모자 스스로 미취업 경험 때문에 소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하는 경우 등을 가리킨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5년 미취업 상태에 있던 사람 중 2006년에 취업한 사람은 58%에 그쳤다. 그러나 2005년에 취업 상태였던 사람 가운데 85.1%는 2006년에도 취업 상태였다.
2005년 실업자였던 사람 중 2007년에 취업한 사람은 63.7%였다. 그러나 2005년 취업자 중 2007년에도 취업 상태였던 사람은 76.8%였다.
또 전년에 실업자였다면 다음 해에 취업자들보다 실업 기간이 3~4개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실업기간이 1개월 늘어나면 이듬해 실업 기간은 약 0.2개월 더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 연구위원은 "이는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청년 인턴십 등 청년실업에 대한 정부 정책이 균형실업률 또는 자연실업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2006년과 2007년 이뤄진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 이동경로 조사'를 토대로 이뤄졌다. 이 조사의 모집단이었던 2004년 8월과 2005년 2월 졸업한 전국의 전문대 이상 대학 졸업자 2만여명을 추적하는 패널조사 방식이 이용됐다.
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younge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