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아시아나그룹 오너 일가가 민유성 산은지주회장이 제시한 최후통첩을 거부하면서, 그룹 구조조정 작업이 최대 위기를 맞게 됐다.
이에 따라 금호석유화학에 대한 자율협약과 경영권 보장이 자동 철회되고 금호산업·타이어도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호 오너 일가는 민 회장이 제시한 데드라인인 주말까지 사재출연에 동의하지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민 회장은 "주말까지 대주주 책임을 이행하라고 통보했으나 오너 일가가 거부했다"며 "8일 채권단회의를 열어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강력한 조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 회장은 하루 앞선 6일 출입기자 초청 신년 산행에서 "금호아시아나그룹 오너 일가가 7일까지 채권단에 보유 계열사 주식의 처분 위임권을 넘기지 않으면 금호석유화학의 자율협약과 그룹 경영권 보장 등을 철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협력업체들은 자금이 없어 원자재 구입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계열사들이 아직도 상당한 모럴헤저드에 빠져 자기 주판알만 튕기고 있다"며 "주채권 은행장으로서 아주 실망스럽다"며 그룹 일부 계열사들의 모럴헤저드에 대해 강하게 질타했다.
이어 "채권단은 손실을 보겠다고 결의한 상태에서 서로 이해득실만 따지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박삼구 박찬구 일가에서조차 의견 통일이 안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산은은 아직 후속 조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시장에서는 금호그룹 계열사에 대한 법정관리 수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호 측이 사재출연을 거부함에 따라 당장 금호 협력업체들에 대한 자금 지원도 어렵게 됐다.
현재 금호산업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금호산업에 280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기로 합의했으나, 금호 오너 일가가 사재출연을 하지 않으면 자금 집행이 어렵다고 못 박은 상태다.
금호타이어 신규 자금 지원은 오는 9일 채권금융기관협의회에서 결정되나 역시 오너 일가의 대주주 책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민 회장은 "적어도 설 전까지 협력업체들에 급여 및 만기어음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려면 금호 오너 일가가 보유 주식 의결권 양도 동의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대우건설 재무적 투자자(FI) 관련, 민 회장은 "현재 2~3곳의 FI들을 제외한 다른 FI들은 채권단 안에 동의했다"며 "채권단과 FI 모두가 청산가치보다 기업가치가 더 크다는 큰 그림에 동의하기 때문에 조만간 합의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재 산은이 금호 FI들에 제시한 방안은 대우건설 주식을 주당 1만8000원에 매입하고 풋백옵션 행사가액과의 차액은 무담보채권화 하는 것이다.
이 차액 가운데 원금에 해당하는 부분은 1:1로 채권화하고, 이자에 해당하는 부분은 1.7:1의 비율로 채권화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초과 이익에 대해 채권단과 FI들이 이익을 공유할 방침이다.
하지만 금호그룹 측이 사재출연을 거부함에 따라 사실상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나머지 FI들이 채권단 안에 동의한다 하더라도 '무용지물'이 될 전망이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