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청와대와 외교통상부, 통일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정부 외교.안보 부처들은 3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 사실이 전해지자 하루종일 촉각을 곤두세우며 비상근무에 돌입했다.
정부 핵심 당국자들은 중국에서 전해지는 김 위원장의 방중 첩보를 토대로 그의 동선(動線)을 추적하면서, 확인작업에 나서는 등 부산한 모습이었다.
특히 18개월간 가동되지 않았던 6자회담에 미칠 영향이나 천안함 사태로 긴장국면에 빠진 남북관계 등 한반도 정세에 미칠 변수를 정밀 분석했다.
그리고 김 위원장이 이 시기를 택해 방중한 배경과 중국의 대응 움직임 등도 주요 분석 대상이었다.
주무 부처인 외교통상부는 이날 새벽 17량짜리 열차가 중국 단둥에 도착하자 주요 당국자들이 모두 출근한 가운데 김 위원장의 탑승여부와 열차의 행방을 추적하는데 주력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은 천안함 사건의 조사결과가 나오기 전이 방중의 적기라고 판단한 것 같다"며 "조사결과 북한의 소행으로 나온다면 방중할 수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다른 당국자는 "특별열차가 단둥에 들어오기 전부터 우리는 모두 비상대기 상태였다"면서 "그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확인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겠지만 여러 정황상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한 것으로 보이며,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통일부도 이날 김 위원장의 방중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천안함 사건, 금강산관광 문제 등으로 경색국면이 심화된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느라 바쁜 시간을 보냈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다는 여러가지 정황이 있기 때문에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과 정보당국도 미국측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김 위원장이 탔을 것으로 추정되는 열차의 동선을 지속적으로 추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