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세븐 지역의 아파트 낙찰가율이 13개월 만에 80% 밑으로 떨어졌다. 특히 분당·용인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4일 부동산경매 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버블세븐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2.27%p 하락한 79.68%을 기록했다. 지난해 3월 이후 13개월 만에 낙찰가율 80%가 붕괴됐다.
버블세븐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해 9월 91.25%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금융당국의 제 2금융권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 시행으로 △10월 88.44% △11월 84.97% △12월 85.16% 등 3달새 6%p 넘게 하락했다.
새해 들어 전셋값 폭등과 함께 강남권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들썩였지만 응찰자들의 저가입찰로 낙찰가율은 83.48%로 다시 하락세를 기록했다.
2월 들어 84.08%로 소폭 상승하는듯 했지만 은마아파트 안전진단통과에도 집값이 하락한데 이어 보금자리주택 공급, 경기남부지역 입주쇼크 등의 영향으로 3월과 4월 낙찰가율은 각각 81.95%, 79.68%을 기록하며 낙폭이 점차 확대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분당과 용인의 낙찰가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분당과 용인은 경기남부지역으로 올 연말까지 1만 가구가 넘는 입주쇼크의 영향으로 매매시장에 급매물들이 쌓이면서 낙찰가율이 두 달 연속 70%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분당아파트 낙찰가율은 75.34%로 3월(79.37%)에 비해 4.03%p하락했고 용인도 같은 기간 동안 2.35%p 내리면서 76.41%를 기록했다.
강남권(강남·서초·송파구)은 감정가 20억원이 넘는 주상복합아파트의 저가낙찰로 3월(84.32%) 보다 2.49%p 하락한 81.83%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반면 목동은 지난 3월(-4.78%p) 급락했던 낙찰가율이 다소 진정되면서 1.83%p 상승한 84.82%를 나타냈다. 평촌도 전달에 비해 1.81%p 오른 80.59%를 기록하면서 80%대로 회복했다.
한편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매매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3월에 비해 1.78%p 하락한 80.69%를 기록했다. 서울이 1.44%p 내린 82.18%, 경기가 2.22%p 하락하면서 79.19%로 1년 만에 70%대로 주저 앉았다. 반면 인천은 3월에 비해 0.26%p 상승한 81.71%를 나타냈다.
이정민 디지털태인 팀장은 "분당·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중대형 고가 아파트가 매매시장에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보니 경매시장에서도 2~3회 유찰된 물건 아니면 입찰자들이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며 "급락세가 진정되지 않는 이상 낙찰가율 하락세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