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주경제 인동민 기자)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 코엑스점(이하 코엑스점)이 13일 오픈 10주년을 맞는다. 지난 2000년 코엑스점의 오픈은 단관 개봉 극장 체제이던 영화 시장에 신선한 충격이었다. 16관 4336석으로 동양 최대 규모에 화려한 인테리어와 안락한 관람환경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이후 10년 동안 다양한 단위의 관람객 모두가 함께 어우러져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렉스의 대중화를 선도. ‘영화관’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오픈 10주년 간 메가박스 코엑스점이 남긴 기록
코엑스점은 지난 10년간 흥미로운 기록을 남겼다. 10년 누적 관람객 수는 무려 5000만 명을 돌파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한 번씩 다녀간 셈이다.
10년간 판매한 팝콘과 콜라의 개수는 각각 1300만ㆍ1200만개. 팝콘과 콜라 통을 세로로 쌓았을 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Mount Everest)을 3000회 왕복 가능하다. 일렬로 세웠을 때는 만리장성(지도상 연장 길이 2700kmㆍ중간에 갈라져 나온 지선들까지 합치면 약 5000~6000km)을 3회 왕복하며 지구를 무려 한 바퀴나 도는 양이다.
또 코엑스점에서는 10년 간 4000여 편의 영화를 약 45만 회 상영했다. 강남 지역 타 멀티플렉스에 비해 거의 2배가 넘는 상영 횟수이다.
지난 10년간 코엑스점은 각종 관객 신기록도 남겼다. 코엑스점은 오픈 이래 10년 간 단 한번도 경쟁사를 포함한 전국의 멀티플렉스 가운데 관객 순위에서 1위를 놓친 적이 없다. 이는 영화관뿐 아니라 여느 세계 여느 극장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이례 없는 기록이다.
이와 함께 관객 수로 이미 신기록을 달성했다. 2004년 7월 31일에 일일 관객수 3만2617명으로 잠실구장 수용가능 인원을 넘으며 세계 신기록을 달성했다. 같은 해 연간 관객 수 600만 명 돌파(619만7754명)로 단일극장 최초 연 관객 신기록을 수립했다.
더불어 코엑스점은 유명 헐리웃 스타들이 내한 시 가장 많이 찾는 영화관으로도 유명하다. 탐 크루즈, 오우삼 감독, 르네 젤위거, 존 쿠삭, 휴 잭맨, 성룡, 주성치 등의 세계적인 배우와 감독 23명이 방문했다.
◆10주년 기념 ‘칸느 특별상영전’ 등 이벤트 가득
코엑스점은 오픈 10주년을 기념해 올 해 말까지 다양한 축하 이벤트 및 경품행사를 마련한다. 우선 코엑스점은 10주년을 기념하여 14일부터 ‘칸느 특별상영전’을 개최한다.
2010년 칸느 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한 ‘시’ ‘하녀’를 비롯한 ‘올드보이’ ‘박쥐’ ‘괴물’ ‘마더’ ‘밀양’ 등 칸느를 빛낸 한국영화 7편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금년 한국영화가 칸느 수상을 할 경우 ‘칸느 특별상영전’ 작품 관람 고객에게 메가포인트를 제공하는 응원 이벤트 등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다.
이와 더불어 10주년 기념 ‘특별 편성 프로그램’을 통해 뉴욕 오페라 공연 ‘시몬 보카네그라’와 서태지 전국투어 ‘더 뫼비우스’ 공연, 영화 ‘하녀’ ‘방자전’ 감독과의 ‘M관 토크’ 등 특별 컨텐츠와 기대작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 외에도 ‘Light, Mania 정액 요금제’와 ‘Gift 상품’ 등 다양한 구성의 10주년 기념 패키지 판매를 통해 영화 무료 관람권+콤보(팝콘과 콜라세트) 할인권 구성을 최대 1만6000원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100% 당첨 경품 스크래치 카드 증정. 영화와 매점 할인 쿠폰 그리고 각종 무료 영화 관람의 기회 등 연중 가득한 다양한 이벤트로 고객에게 감사의 뜻을 전할 예정이다.
김우택 메가박스 대표는 “지난 10년 간 관객들의 끊임없는 사랑 덕분에 메가박스 코엑스점이 ‘국민 영화관’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의 10년 또한 관객들의 다양한 욕구에 발맞추어 올 5월까지 3D 상영관을 전국 27개까지 확대하는 등 각종 첨단 시설 투자를 주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어 “올 해 안에 일산 킨텍스점 오픈을 시작으로 내년 인천 송도 메가박스 오픈 등 ‘미래형 극장’의 모습을 선보이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idm81@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