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감혜림 기자) 2일 미국의 IT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휴대전화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시장에서 39.2%의 점유율을 기록해 1위에 올랐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는 2008년 시장점유율 30.9%에서 지난해 18.9%로 급락, 3위로 내려앉았다. 르네사스는 지난해 27.7%의 점유율로 2위를 유지했다.
파나소닉과 ST마이크로는 지난해 각각 5.9%, 4.6%의 점유율로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AP는 휴대전화의 '두뇌'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다. 최근 세계적인 스마트폰 열풍으로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ARM사의 최신 코어(Core)인 'CORTEX-A8'을 기반으로 45나노 저전력 공정을 적용, 전력 소모를 낮추면서도 1GHz의 클럭 스피드(컴퓨터 프로세서 동작속도)를 달성한 AP를 개발해 웨이브폰과 갤럭시S 등 최신 제품에 탑재하고 있다.
또 800MHz, 677MHz, 533MHz 등 고성능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하면서도 저소비 전력을 실현한 제품을 개발해 AP 시장점유율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휴대전화 시장은 3억1465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17% 늘어났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은 49% 증가한 5430만대로 분석돼 삼성전자와 같은 고성능 AP 제조업체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최근 스마트폰 시장이 급속히 커지면서 고품질·고성능 AP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면서 "갤럭시S 등 고성능 스마트폰이 잇따라 출시되는 올해에는 시장규모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kam8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