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지식경제부는 하반기부터 3D영상의 생성 및 재생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8일 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발표한 '3D산업 발전전략'의 일환이다.
우선 현 시점에서 기술개발이 시급한 상용화 분야를 중심으로 2개의 신규과제를 발굴, 올해는 1차적으로 22억원을 투입해 3D제품 국산화 및 시장선점에 역점을 두고 R&D사업을 추진한다.
또 무안경 TVㆍ홀로그램 등 중장기적 미래핵심원천기술개발은 오는 10월에 수립되는 기술로드맵을 기반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2개의 신규과제는 산ㆍ학ㆍ연 등 3D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를 통해 산업계의 R&D 수요를 반영해 선정됐다.
첫 번째 과제는 일반 카메라로 촬영한 컬러 영상과 센서를 통해 측정한 깊이 정보를 합성해 3D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HD급 3D 깊이감(Depth) 카메라를 오는 2013년까지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3D 카메라는 2개의 렌즈로 2장의 영상을 촬영해왔다. 반면 3D Depth 카메라는 컬러 영상과 깊이 정보를 획득해 다양한 시점에서의 영상정보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무안경 TV 시대 개막을 위한 필수 장비라는게 지경부의 설명이다.
현재 이스라엘, 일본, 독일 등에서 SD급 3D Depth 카메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 번째 과제는 4K급의 초고해상도 3D영상 처리 기술과 영상표시장치를 2012년까지 개발하기 위한 것. 현재 디지털 시네마는 스크린 대형화에 따라 2K급(픽셀:2048×1080)에서 4K급(4096×2160)으로 전환되는 추세다. 아바타의 성공으로 3D디지털 시네마의 확산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게 지경부의 분석이다.
4K급은 HD에 비견되는 2K급 보다 4배 더 선명한 초고해상도를 실현, 대형 디스플레이에서도 매우 선명하고 실감나는 영상 구현 가능하다.
향후 5년 이내 4K급 3D디지털 시네마가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신규과제는 오는 3일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7월 중 수행기관을 확정할 예정이다.
한편, 지경부는 올해 10월에 마련되는 3D 산업 통합기술로드맵을 기반으로 산업별 수요 및 우선순위에 따라 세부기술개발 과제를 선정해 내년부터 3D기술 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