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미래기반기술사업(시스템생물학 연구개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세계적 저명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지 지난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가상세포는 컴퓨터시스템으로 실제세포를 모사하여 연구하고자하는 생명체의 세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다.
이상엽교수 연구팀은 생명체의 정확한 모사를 위한 가상세포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얻어진 가상세포 예측 결과들은 실제 세포 실험으로 측정된 결과와 비교해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교과부는 정확한 가상세포 예측이 가능해 실제 생명체의 분석연구에서 시간과 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ksrkwo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