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민주당 당권주자 가운데 ‘486(40대·1980년대 학번·60년대생)’ 후보인 최재성 의원과 이인영 전 의원 간 단일화 논의가 사실상 '결렬'됐다.
당내 486 전·현직 의원들로 이뤄진 ‘삼수회’의 우상호 전 의원은 13일 “이 전 의원이 컷오프(예비경선)에서 3명의 486 후보 가운데 다득표를 획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 전 의원을 단일후보로 인정하고 공동 선거운동 등의 노력을 경주키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삼수회’는 이 전 의원과 최 의원에게 ‘컷오프 득표 순위가 간접적으로 확인됐으니 다득점자로 후보를 단일화하는 방안에 동의하는지 답변해 달라’는 취지의 통지를 했으나, 최 의원 측은 이 같은 제안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원우, 최재성 의원과 이인영 전 의원 등 3명의 486 후보들은 전대 출마자를 가리는 ‘컷오프’에 앞서 “본선 후보등록 때 단일후보를 내겠다”고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3명 모두 컷오프를 통과하자 그에 따른 계파별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후보 단일화 협상 또한 이렇다 할 진척을 거두지 못했다.
백 의원은 친노(친 노무현) 직계, 최 의원은 정세균 전 대표계, 그리고 이 전 의원은 김근태 전 의원계로 각각 분류된다.
이런 가운데, 백 의원이 12일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3인 간 후보 단일화의 ‘물꼬’가 트이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최 의원은 대전에서 열린 언론 간담회를 통해 “정치적 요청이 있으면 (후보 단일화를) 마다하지 않겠다”면서도 “백 의원의 후보 사퇴에 담긴 메시지는 ‘이것으로 단일화 논쟁이 끝나길 바란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백 의원을 포함한 3자 간 후보 단일화 논의는 이미 끝났고, 필요하다면 이 전 의원과 양자 간 단일화
논의는 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
이와 관련, 정 전 대표 등 주류 측에선 "친노 측의 백 의원이 후보를 사퇴한 가운데 최 의원마저 후보 자리를 내놓긴 어렵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혀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의원의 경우 정 전 대표와 함께 유력주자 ‘빅3’로 꼽히는 정동영·손학규 상임고문 측으로부터도 우호적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확실한 우군으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이 전 의원은 이미 삼수회 내에서 전대협 의장 출신인 자신에 대한 지지가 우세한 점을 염두에 둔 듯, 이날도 “어떤 일이 있어도 후보 단일화 약속을 지키는 게 옳은 일이고 원칙”이란 입장을 거듭 밝혔다.
결국 이날 최 의원과 이 전 의원의 후보 단일화 논의가 결렬됨에 따라 그간 ‘새로운 세대정치’를 내걸고 전대 무대에 뛰어든 486 그룹마저 계파정치의 구태를 답습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중론이다.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