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남성보다 '노동 참여도·임금수준' 낮아

  • 고용부, 고용평등지표 11년만에 첫 하락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남녀 성별 고용평등지표가 57.3%를 기록해 2008년 57.4%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고 2일 밝혔다.

   고용평등지표가 전년보다 나빠진 것은 1998년(49.5%)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하락한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고용평등지표란 고용 부문에서 남녀의 지위가 얼마나 비슷한지 나타내는 지표로 100%에 가까울수록 평등 수준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이 지표를 산출하는 데 쓰이는 하위 지표는 남녀의 임금근로자 비율(노동시장 참여도), 시간당 임금비율(노동보상도), 관리직 비율(노동위상도), 상용직 비율(직업안정도) 등 4가지다.

   이중 노동위상도는 개선됐으나 노동시장 참여도 등 나머지 지표는 모두 악화됐다. 노동위상도는 9.61%로 1.28%포인트 상승했다.

   노동위상도는 2006년 도입한 적극적고용개선조치(AA)제도의 영향으로 기업내 여성근로자 및 여성관리자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덕분에 개선됐다고 고용부는 분석했다.

   반면 노동참여도는 70.01%로 0.1%포인트 빠졌으며 노동보상도도 69.14%로 0.66%포인트 하락했다.

   직업안정도는 65.74%를 기록해 0.61%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산출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노동위상도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지표가 나빠진 것은 2008년 말 시작된 경제상황 악화 등의 여파로 여성이 남성보다 노동시장 참여도나 임금수준, 종사상 지위 등이 상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