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고용평등지표 11년만에 떨어져

  • 지난해 기준 57.3%로 전년比 0.1%P↓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지난해 남녀 성별 고용평등지표가 57.3%를 기록, 2008년 57.4% 보다 0.1%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용평등지표가 전년 대비 나빠진 경우는 1998년(49.5%) 이후 11년만에 처음으로, 당시 고용평등지표는 전년 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고용평등지표란 고용 분야에서 남녀 지위가 얼마나 비슷한지 나타내는 지표다. 100%에 가까울수록 평등한 정도가 높다는 뜻이다.

이 지표는 남녀의 임금근로자 비율(노동시장 참여도), 시간당 임금비율(노동보상도), 관리직 비율(노동위상도), 상용직 비율(직업안정도) 등 4가지를 반영해 산출된다.

이 가운데 노동위상도는 9.61%로 1.28%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노동부는 006년 도입한 적극적고용개선조치(AA)제도의 영향으로 기업내 여성근로자 및 관리자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노동위상도가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반면 노동참여도는 70.01%로 0.1%포인트 줄었으며 노동보상도도 69.14%로 0.66%포인트 하락했다.

직업안정도는 65.74%를 기록, 0.61%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산출됐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지표가 안좋은 것은 2008년 말 시작된 경제상황 악화 등의 여파로 여성이 남성보다 노동시장 참여도나 임금수준 등이 상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