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 해 지방교부세를 재원별로 살펴보면 보통교부세는 도 본청이 714억원으로 전년대비 206억원이 늘어 40.6%가 증가했으며, 시.군은 1,401억원이 증가해 1조 5,954억원으로 전년보다 9.6%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 해 전국 평균 교부세 증가율은 13.6%이다.
지자체별로는 도가 신규재정수요 발굴로 206억원이 증가한 714억원의 교부세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시.군별로는 양평군이 143억원 증가한 1,082억원으로 도내 시군 중에서 가장 많은 교부세를 받게 되었으며, 이어 포천시 1,068억원, 안산시 1,034억원 순이다.
전년대비 증가액 순으로 보면 도가 206억원, 양평군 143억원, 의정부시 112억원 순으로, 평균 10.7%가 증가했으며, 전년대비 감소한 시.군은 없는 상황이다.
분권교부세는 도 본청이 전년보다 174억원이 늘어난 1,300억원으로 확정 됐고, 시군은 23억원이 늘어난 857억원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했다.
도는 노인, 장애인, 정신 등 3대 생활시설 특정수요 166억원이 증가, 전년대비 15.5%가 늘었으며, 시.군 중에서는 화성시가 129.9% 증가해 가장 많은 61억원을 교부받았다.
도로보전분 교부세는 전년과 동일하게 도가 424억원, 시.군은 485억원으로 확정 됐다.
한편 2011년 보통교부세 결정 자료에 의하면 재정력지수는 도청이 0.98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며, 수원, 성남시 등 23개 시군의 재정력은 향상 되었고, 의정부, 과천시 등 8개 시군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도 및 시.군 담당공무원이 기준재정수요(복지, 도로, 하천, 체육시설 등)를 적극 발굴한 결과 교부세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방교부세는 시.군에서 자주 재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역경제활성화 및 서민생활 안정분야 등에 우선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허경태기자hkt0029@ajnews.co.kr
[ⓒ ‘한·중·영·일 4개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