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신흥대학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에너지관리공단에 제안서를 제출, 4월에 착공에 들어가 학교 내 본관 건물에 지열 냉난방시스템을 설치하고 현재 시험 가동 중에 있다.
총사업비는 9억8000만원으로, 신흥대가 50%를 나머지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부담했다.
신흥대는 앞으로 지열 냉난방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이전의 냉난방에 들어갔던 비용과 차액을 상환하게 된다.
신흥대 측은 현재 냉난방 비용을 산출했을 때 약 3~4년 후에는 상환이 가능하고 이후에는 연간 1800만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냉난방시스템으로 얻어지는 전력량은 연간 최저 244㎾(냉방)에서 최고 384㎾(난방)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흥대 측은 현재 본관에 시범 설치해 운영하는 것을 대학 전체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 신흥대 측은 경기도 제2청사의 협조를 얻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냉난방시스템을 견학·체험하는 에코투어를 계획하고 있다.
신흥대 관계자는 “지열 냉난방시스템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기존 전기보다 열효율이 5배나 높아 전기요금을 30~40% 절감할 수 있다”며 “특히 정부의 저탄소 녹생성장에 맞춰 에너지 절약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열 냉난방시스템은 지하 50m까지 관로를 설치해 연중 18~20도 정도로 유지되는 지열을 냉난방에 이용하는 방식으로, 여름과 겨울에 지상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끌어올려 난방을 하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