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계자는 21일 “예비회담은 국방부가 군 채널을 통해 북측에 통지문을 보내 제의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를 위해 통일부와 국방부, 외교통상부 등 관계 부처간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장광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이에 대해 “가급적 빠른 시기에 예비회담의 방향에 대해 북측에 제의할 것”이라며 “이르면 다음주 초에 제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비회담의 주체는 남북 군 당국인 만큼 대령급 실무자가 수석대표로 나서고 차석대표로는 통일부 과장급 실무자가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예비회담 장소로는 지난해 9월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열린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이나 북측 ‘통일각’이 유력하다.
하지만 본회담의 형식과 의제에 대해 북한이 언급한 ‘고위급’의 의미를 두고 군 당국은 판단을 유보한 상태다.
국방부는 앞서 “고위급 회담은 국방장관 회담으로 해석해도 틀리지 않다”고 설명했으나 이후 “장관급 회담이 될 수도 있고 장성급 회담이 될 수도 있다”라고 번복했다.
장 실장은 “우리 생각과 북의 생각이 다를 수 있다”며 “실무회담을 해보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의제와 관련해서는 예비회담에서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와 추가 도발 확약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는 방침이지만 이에 대한 북측의 예상 반응과 대응 방향을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예비회담을 해보고 본회담의 개최 여부를 판단하겠다”며 “작년 9월 대령급 실무회담 때처럼 소모적인 논쟁의 장이 되거나 정치적인 선전의 장이 되면 본회담의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