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이승효 교수팀이 우리 몸의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T 임파구)에서 분비되는 물질 즉 인터페론이 림프관신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새롭게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진은 T 임파구와 인터페론이 결여된 생쥐에 면역 증강제를 투여하자 림프관신생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T 임파구나 인터페론의 기능을 조절해 백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면역 기능을 높인 백신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예방과 치료에 획기적인 효과를 지닌 백신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림프관신생은 몸속에 새로운 림프관이 만들어지는 현상으로 면역기능 유지와 염증 억제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인 '이뮤니티' 20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