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가기록원이 수집한 해외기록물은 1950~70년대 북한주재 불가리아대사관에서 생산한 문서와 불가리아주재 북한대사관에서 불가리아외무부로 발송한 문서류 등 총2000여 매로 최근 불가리아 국립문서보존소가 비밀해제함에 따라 국가기록원이 본격 수집했다.
국가기록원은 이들 기록물은 북한과 불가리아 관계사만이 아니라, 남북한 관계사, 1950~70년대 북한사회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북한 유학생의 망명관련 기록물’(1968년)에는 1962년 8월 불가리아 북한유학생 4명이 불가리아로 정치적 망명을 하게 되자, 북한 송환을 요구하는 북한정부와 이를 거부하는 불가리아 정부간에 대립이 첨예했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1968년에 가서야 해소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대해 김용현 동국대 교수(북한학과)는 “1962년 북한유학생 망명으로 인해 북한․불가리아간 외교관계 갈등이 6년 동안 심화되어 위기에 처했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그 무렵 동독에서 유학생들의 망명사태가 있었으나, 그 외 국가에서의 망명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이 사건으로 1960년대 북한 유학생의 ‘본국 소환’이 확대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한․일 수교 반대데모 요청 문서’(1962년)의 경우, 1962. 3월 불가리아주재 북한대사관이 한일수교 반대 집회를 불가리아 지방까지 개최할 것을 요청한 문서로 이로써 북한이 해외 주재 북한대사관을 통해 불가리아 지방의 공장․집단농장 등 ‘전역에서 반대집회’를 요청했다는 사실이 외교문서로 최초 확인됐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앞으로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해외기록물 수집에 적극 나서고, 수집대상도 동유럽․사할린 등으로 더욱 다원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외 유학생․교수 등을 현지 조사위원으로 위촉하여, 해외기록물 조사 및 수집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수집한 기록물은 주제별로 시사회․세미나를 개최하고, 각 국의 국가기록원과 공동으로 자료집 등을 발간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