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3/11/20110311000040_0.jpg)
흔히들 골프를 가르치다가 백스윙 탑을 조금 더 올려라 하면 테이크 백이 어디로 갈지 몰라 합니다. 단순하게 올리는 것에 급급해서 클럽 헤드 모양만 만드는 것이니 매번 그 모양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골프 스윙은 좌우로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는 것이 아닌 회전 운동입니다.
몸통을 꼬다보면 자연스럽게 오른편으로 체중이 실릴 수도 있는 것인데 처음부터 아예 오른편으로 가버리니 스웨이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스웨이 된다고 하면 오른발에 너무 힘을 주어 몸통 회전을 부족하게 만들어 버리는 부작용이 생깁니다.
스윙의 큰 흐름을 확실하게 기억하고 있을 때 작은 흐름도 나옵니다. 즉 왼팔을 중심으로 몸통의 회전이라는 큰 흐름이 확실하게 잡혀있어야 그 외 손목, 무릎, 발목 등의 작은 근육 움직임까지도 섬세하게 맥을 잡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큰 흐름이 잡혀있지 않으면 스윙이 자주 바뀌게 되는 것이죠. 원리(지식)에 따라 수정 보완해야 하는데 느낌에 따라 수정과 보완을 반복하니 매번 바뀔 수밖에 없고 ‘화장실만 다녀와도 감이 다르단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다시 한 번 큰 흐름의 원리를 명확하게 압시다. 심리적으로 불안해하지 말아야 믿고 칠 수 있습니다. 정신적으로 불안(긴장)한데다 원리까지 모르니 답이 나올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음은 백스윙 탑으로 가는 길에 대해 설명해 드리지요.
탑의 완성 모습에서 우측에서 본 모습을 보면 오른팔의 팔꿈치가 몸 안에 있어야 한다. 닭 날개(chicken wing) 되지 말라는 얘기는 많이 들어보았을 겁니다. 이 틀을 벗어나지 못해 스윙을 업라이트 하게 하려다보니 도대체 각이 나오지 않아 결국 왼쪽 어깨가 떨어지고 머리는 왼쪽으로 더 떨어져 버리게 된다.(왼쪽으로 뒤집어진 모습) 이런 탑 스윙일 때는 목부터 양어깨(승모근)에 힘이 잔뜩 들어가게 되고, 백스윙이 부드럽지 못하니 보는 사람들마저도 부담스럽게 보입니다.
시야와 안목이 넓어야 합니다. 물론 지금은 전체를 몰라서 하나하나 알아가는 수준이지만 일단 들어서 담아두면 나중에 어우러져 그 이론들이 하나의 힘으로 작용되며,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쓰면 됩니다.
골프스윙이라는 것이 폭이 넓고 나와 있는 이론들이 너무 많다보니 수많은 사람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왜 그런지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할 수 있는 원리를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느낌으로 대충 치는 골프를 한다하더라도 그 안에 골프의 원리와 철칙은 반드시 있습니다. 제대로 알고 제대로 즐깁시다.
권오연 멘탈 골프 클리닉 & 아카데미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