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일본 대지진 피해를 계기로 양국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마련키 위해 애쓰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진이 발생한 지난 11일 오후 일본 정부보다 30분 먼저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 "이웃나라로서 최선을 다해 피해복구나 구조활동을 지원하라"고 지시한 뒤, 간 나오토(管直人) 일본 총리에게 '인명피해에 가슴 아프다'는 내용을 담은 위로전문을 보냈다.
또 12~14일 아랍에미리트(UAE) 공식방문 기간 중에도 간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위로와 격려의 뜻을 직접 전하는가 하면, 한·UAE 정상회담 결과 발표 회견, 동포 간담회, 자이드 국제환경상 수상연설, 수행기자단 만찬 간담회 등을 통해서도 일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귀국 당일인 15일에는 재난에 침착히 대응하는 일본 국민의 모습을 들어 "이런 점은 우리도 배워야 한다"고까지 말했다.
이 대통령이 이처럼 이번 일본 지진 상황에 대해 신경을 쓰고 있는 건 단지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깝다거나 경제·문화 등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같은 표면적인 양국관계 때문만은 아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그간 대통령은 실용주의 외교기조에 따라 한·일 양국이 과거 불운한 역사를 직시하되, 그에 따른 갈등을 딛고 동아시아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해왔다"면서 "일본 지진과 관련한 일련의 발언도 그 연장선상에서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일관계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진정성'을 보여줌으로써 이달 말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 발표를 앞두고 다시 불거진 '독도 영유권 주장' 논란 등을 사전 차단코자 하는 의지도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올 3.1절 기념사에서 "동아시아가 세계질서 변화의 중심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 때 동아시아 평화는 인류 앞날에 매우 중요하다"며 ""일본은 지난 해 간 총리의 (한일 강제병합 100년 사죄) 담화를 바탕으로 진정성 있는 행동과 실천에 나서야 한다. 그래야 우리 양국이 과거에 머물지 않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일본의 지진피해가 극심하긴 하지만 그동안의 양국 국민감정 등을 고려할 때 청와대나 정부까지 지나치게 감성적으로 접근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글로벌문화경제포럼 주최 특강에서 "(일본 돕기 움직임이) 너무 달아올라 한순간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다는 걱정을 한다"며 "(일본 교과서에 '독도 영유권' 주장이 실릴 경우) 우린 열심히 했는데 너흰 왜 이러느냐며 뒤집어질까봐 걱정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