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다시 적용키로 해 주 수익원이었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꺾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시중금리가 꾸준히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신용대출을 늘릴 경우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월 현재 국내 은행의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잔액은 140조4626억원 수준이다.
지난해 기타대출은 6조원 가량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1월 들어서는 1조4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까지 대출자들의 신용위험�권 연구원은 “DTI 규제 재적용은 주택매매 심리를 위축시켜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 간 영업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정부가 DTI 규제를 재적용키로 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은행 수익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대마진(대출금리와 예금금리 격%C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용대출 실적을 늘리기 위해서는 심사기준을 다소 완화할 수밖에 없다는 것도 문제다.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심사기준을 완화할 경우 상환능력�1장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금융연구실장은 “기업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하면 남은 카드는 신용대출 밖에 없다”며 “주택구입자금 이외의 가계대출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중금리가 오름세를 타고 있기 때문에 신용대출 금리도 인상될 수 있다.
지난해 5월 6.27% 수준이었던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 1월 7.44%까지 올랐다.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전반적으로 동반 상승하는 추세”라며 “신용대출은 확실한 담보가 없어 리스크 수준에 따라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용대출 실적을 늘리기 위해서는 심사기준을 다소 완화할 수밖에 없다는 것도 문제다.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심사기준을 완화할 경우 상환능력이 부족하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대출자들이 유입돼 가계와 은행의 신용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을 압박하면 은행 입장에서는 수익성을 위해 신용대출을 늘리게 될 것”이라며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겠지만 일부에서 심사기준 완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