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쪽의 백서는 북한 잠수정의 어뢰공격에 의해 천안함이 피격됐으며, 군은 사건 당일 잠수함(정)의 기지 입.출항 정보를 인지하고도 대비하지 못한 점을 사실대로 기록했다.
국방부와 합참, 해경, 외교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발간한 이번 백서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서 책임 집필했다.
백서는 “북한 잠수정이 우리 영해에 침투해 천안함에 어뢰를 발사하고 도주하는 동안, 우리 군의 위기관리시스템에 따른 대응 및 조치는 전반적으로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백서에 따르면 천안함 피격시 이에 대한 보고 및 전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대응조치에 혼선을 초래했으며 천안함과 2함대에서는 최초 보고시 발생 원인을 누락했다. 보고 또한 천안함으로부터 합참, 국방부, 청와대까지 보고하는데 23분이 걸렸다.
이후 한미연합사령부에는 사건 발생 43분 뒤에야 보고돼 한미 정보공조가 원활하지 못했다는 점도 공개했다.
천안함 피격 직후 군의 초기대응반과 위기조치반은 1시간 경과 후에 소집됐으며 합참의장에게 최초 보고가 지연되어 초동조치를 취하는데 제한을 받았다고 백서는 설명했다.
또한 백서는 국방부 대변인실과 공보과 등이 중심이 된 군의 공보전략의 부재는 해명에 급급한 언론대응 방식으로 국민의 불신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백서는 또한 천안함 폭침을 다룬 언론의 잘못도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백서는 “기자단은 군에게 정확한 정보를 요구하면서 언론사별로 정보획득을 위해 모든 방법을 총동원했고 동시에 미확인된 추측성 기사를 양산했다”고 기술했다.
다만, 백서는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의 입장만을 전달하기보다 국민이 알고 싶어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달할 수 있는 홍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북한군의 도발양상에 대한 군의 대응과 관련해서는 “대청해전 이후 전술토의를 했으나 실질적인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고 해안포와 장사정포, 지대함 유도탄을 이용한 도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잠수함정의 대비태세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고 백서는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