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노조는 오전 6시 30분부터 정상 출근해 일부 업무에 복귀했으나 파업 불참 확약서를 둘러싸고 사측과 갈등을 빚으면서 다시 공장 가동이 중단됐다.
사측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확약서를 쓴 조합원만 일할 수 있도록 한 방침에 따라 근로자 390여명이 확약서를 썼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조는 "사측이 확약서 작성을 강요했다"며 조합원에게 출근하지 말도록 해 이날 오후부터 광주와 곡성 공장 가동이 모두 중단됐다.
당초에 사측은 오전, 오후, 야간 근무인원에게 파업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확약서를 받고 직장폐쇄를 해제할 방침이었다.
노조는 오는 29일 확대간부 파업을 예고했으며 민주노총도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직장폐쇄 장기화 등 사태가 악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광주본부는 성명을 내고 "사측은 즉각 직장폐쇄를 풀고 확약서를 철회해야 한다"며 "조만간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내부 논의를 거쳐 연대 총파업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노조는 2010년 임금 및 단체협약 재교섭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워크아웃 상황에서 체결한 '평화유지 의무기간'이 2년이므로 지난해 합의한 임단협이 내년 4월까지 유효하다며 교섭에 응하지 않고 있다.
노조는 25일 하루 동안 경고파업을 했으며 사측은 이를 불법 파업으로 간주하고 같은 날 오전 11시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