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박사가 발견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IL-8’이 한국인의 치매 진단을 조기에 가능토록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IL-8(인터류킨 8)은 우리 몸의 염증반응에서 염증세포들을 활성화하고 염증부위로 끌어들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김 박사는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IL-8의 수준이 정상인에 비해서 경도 인지장애 및 치매환자에서 차이가 있음을 새롭게 발견했다.
연구에 사용된 혈액 시료는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운영해 온 지역사회노인코호트의 정상, 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지역사회코호트 성격상 중증의 치매환자 보다는 잠정적 치매환자가 많아 치매 조기 진단의 가능성이 높다.
지역사회코흐트는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84세 이하 노인 약 3000명으로 구성됐다.
정상에서 치매환자로 진행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경도 인지장애 그룹에서도 혈액내의 IL-8의 수준이 정상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치매 조기 진단의 가능성을 높였다.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발굴하는 것은 치매 예방을 위해 선행돼야 하는 중요한 연구다.
치매노인 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치매를 조기 진단해 발병 시기를 2년만 늦춰도 40년 후에는 유병률을 80%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내의 염증 유발 물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치매 진단 지표 개발을 통해 치매를 예방하고 유병률을 낮추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뇌신경분야의 SCI급 학술지인 ‘비엠시뉴롤로지(BMC Neurology)’에 5월 말에 게재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