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한국정부가 젊어지고 있다]한국은행 40대 중용, 젊은 피 수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07 14: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직군제 폐지, 지역 성별 배려 인사로 차별화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한국은행, 철밥통에서 벗어나자.”

이는 지난 3월 1일 김중수 한은 총재가 13년만에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다.

특히 김 총재는 조직개편과 정기인사가 이뤄진 후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직장과 정년이 보장된 상황이 우리 조직의 이미지가 돼서는 안 된다“는 단호한 태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김 총재는 취임 후 첫 인사를 앞두고 2~4급 직원들이 무조건 소속 직군 내에서만 근무하도록 하는 `직군제’ 폐지를 골자로 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김 총재는 이어 2003년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40대 본부장을 발탁하는 등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한은은 지역 경제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기여하기 위해 제주지역에 연고가 있는 박성준 제주본부장(63년생)을 발탁하고 전문적이고 유능한 젊은 직원들을 국·실장에 전진 배치했다. 또한 경기·경남 지역 본부장 역시 1959~1963년생으로 이전보다 훨씬 젊어졌다.

특히 3월 인사에서는 정년이 임박하거나 장기 근무한 국·실장 16명이 현직에서 배제하는 대신에 40~50대 초반의 젊은 직원을 발탁했다. 특히 1급 직책인 워싱턴 주재원과 금융시스템부장에는 40대 2급 직원이 임명됐다. 명실상부한 '젊은 한은'으로 진용을 새롭게 짠 것이다.

올해부터 정기인사를 연 1회 실시하기로 결정한 한은은 이밖에도 지방대학 출신 국장급 1명을 비롯해 총 13명을 승진시켰으며 과장급 이상 직원 104명을 승진 발령했다. 또한 다양성과 유연성 확대를 위해 여성인력을 13명 승진시켰다. 여성 승진 비중을 최근 5년간 평균인 5.1%에 비해 2배 이상인 12.5%로 높였다. 김 총재는 세대와 지역, 성별을 아우르는 화합 인사를 단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총재는 이 같은 조직 개편과 인사 단행에 대해 ”여러분의 현재와 미래를 정하는 중요한 결정요인이라는 시각에서 매우 신중하게 접근했다“며 ”지금의 결과는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것일 뿐 종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해 능동적인 구조개혁이 지속될 것임을 예고했다.

김 총재는 이 같은 조직개편을 통해 한은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돼 온 인사적체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한 것으로 보인다.

비록 이례적으로 40대 본부장을 발탁하며 조직의 젊은 피를 수혈했지만 부담공유를 인사의 기본원칙으로 삼았다고 언급할 만큼 조직개편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 했다.

직군제 폐지는 한은의 중견 직원 12명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에서 만장일치로 동의할 정도로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한은 내부에서는 김 총재의 인사방향에 대해 "현상을 방어하기보다는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려는 의도가 돋보였다. 한마디로 신선한 충격”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례적인 개편을 앞두고 노조와 갈등을 빚는 상황이 연출돼 일각에서는 조직개편의 긍정적 성과를 얻기까지 어느 정도 시일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김 총재는 지난해 4월 취임 이후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 △독단 경영 △노조 무력화 시도 등으로 임직원들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조직개편과 인사 혁신성에도 볼구하고 한은 직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기에는 아직 불확실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일부 한은 임직원들은 급격한 변화와 독선적인 김 총재의 조직운영 방식에 불만을 품었고 이 같은 상황이 노조의 활성화로 발전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이번 인사를 김 총재의 조직 장악력 확장으로 평가절하하는 의견도 여전하다.

실제로 2급(팀장급) 직원들을 1급(국·실장)으로 대거 중용하는 등 1~2급 간의 경쟁시스템을 도입해 김 총재가 인사를 장악하겠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직군제 폐지로 5명의 부총재보의 업무를 국·실장에게 이양하고 해당 업무에 대한 보고를 총재가 직접 받기로 하면서 총재 직할체제를 강화한 점도 이에 대한 방증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김 총재가 인사적체의 매너리즘으로 고사해가던 한은의 고질적인 병폐를 혁파하겠다고 나선 만큼 이 같은 김 총재의 개혁 인사가 과연 최선의 선택이었는지는 향후 한은의 조직 융화와 경영 성과에 따라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