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레버리지 비율이 높은 하나SK카드와 현대카드는 영업에 비상이 걸렸다.
7일 금융당국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카드사를 포함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레버리지 규제를 도입키로 했다.
총자산이 자기자본의 일정 배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하겠다는 것으로, 업계 의견을 수렴한 후 연내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을 거쳐 본격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최근 외형확대 경쟁이 과도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카드사의 레버리지 규제 수준을 크게 높이기로 했다.
3월 말 현재 카드사의 레버리지 비율은 4.1배 수준이다.
7개 전업 카드사 중 평균치를 하회하는 곳은 삼성카드(2.4배)가 유일하다.
반면 하나SK카드(7.7배)와 현대카드(5.8배) 등 레버리지 비율이 높은 카드사는 규제가 시행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다.
하나SK카드는 후발 주자로 영업력 확대를 통한 시장점유율 제고가 절실하지만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경우 입지가 더욱 좁아질 수 있다.
현대카드도 삼성카드와의 2위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서게 될 수 있다.
금융당국은 레버리지 규제를 위반한 카드사의 경우 자본확충과 자산감축 등 제재를 가할 방침이다.
할부사의 경우 하나캐피탈(13.0배)과 두산캐피탈(12.3배), 현대캐피탈(9.1배) 등이 업계 평균 레버리지 비율은 8.4배를 상회하고 있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리스사는 평균 레버리지 비율이 7.2배 수준이다.
BS캐피탈(18.0배)과 현대커머셜(15.6배), 우리파이낸셜(12.4배), KT캐피탈(11.5배) 등의 레버리지 비율이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