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6/08/20110608000298_0.jpg)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버냉키는 이날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국제금융회의에서 "미국 경제는 대공황 이후 최악의 금융위기와 주택시장 거품 붕괴로부터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미 경제는 동시에 동일본 대지진과 상품가격 급등 등에 따른 역풍도 맞고 있다"며 "회복속도가 느리고 부문별 성장세도 고르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 "미 경제가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밑돌고 있는 만큼 고용창출력이 강력해질 때까지는 이에 걸맞은 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로(0)금리 기조를 고수하겠다는 의미다. 버냉키는 특히 "최근의 경제지표는 노동시장이 모멘텀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통화정책이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버냉키는 자산 매입을 통한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다. 다만 그는 연준이 최근의 성장세 둔화에 보유 자산을 동결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는 자산 매입으로 3조 달러 수준으로 불어난 연준의 자산 규모를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당분간 긴축을 위한 자산 매각에는 나서지 않겠다는 뜻이다.
버냉키는 또 "올해 하반기에는 휘발류 가격 안정과 함께 성장세와 고용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시장에서는 이를 추가 양적완화는 없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연준은 60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매입하는 2차 양적완화 프로그램(QE2)을 예정대로 이달 말 종료할 방침인데 시장에서는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가 잇따라 악화되자 QE3 시행 가능성에 기대를 걸어왔다. 때문에 상승세를 탔던 뉴욕증시는 이날 버냉키의 발언이 알려지면서 하락반전했다.
버냉키는 연준이 풀어낸 과도한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최근의 물가 급등세는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이 역시 일시적 현상이며, 낮은 임금상승률과 안정된 기대 인플레이션율 등을 감안할 때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의회에서 공화당 주도로 재정지출 규모를 대규모 삭감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데 대해서는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 계획은 필요하지만 지출삭감을 서두를 경우 경기회복을 저해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