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높은 수준의 대학 등록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중소기업 종사자의 자녀들이 제대로된 대학 교육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임직원 자녀의 학비를 거의 전액 지원하고 있었다. 해외 유학은 물론, 퇴직 이후 10년까지 학자금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삼성그룹은 임직원 자녀의 초·중·고 등록금은 물론, 대학 등록금까지 거의 전부 지원한다.
삼성SDS는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 1명에게 연간 240만원을 지급한다. 국내 대학등록금은 전액, 해외유학 자녀에 대해서는 1년에 1000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도 직원 자녀가 유치원에 다니면 분기당 60만원, 중·고등학생은 연간 300만원을 지원한다. 국내 대학교 학자금은 전액 지원이다.
대형 증권사와 은행들도 임직원 자녀의 대학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기는 마찬가지며, 신세계는 업계 최초로 퇴직 임직원 자녀의 중·고·대학교 학자금을 퇴직 후 10년까지 지원한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사정이 다르다. 학자금 지원을 해주는 회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전체 고용의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 및 자영업 종사자들의 자녀는 아무런 사회적 지원없이 자신들의 힘만으로 대학 교육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지난 IMF 위기 때 대부분의 중소 건설사들은 직원 자녀들에 대한 학자금 지원을 중단했다"며 "최근에는 건설경기가 장기간 침체되면서 직원들에 대한 복지 수준은 더욱 열악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조원택 플라스틱가공업체연합회 이사는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일 수록 사내 복지환경이 열악한 게 사실”이라면서 “겉으로 드러내기 어려워 말을 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기업 직원이라고 모두 자녀 교육을 무료로 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많은 수의 대기업 종사자들이 자녀들이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퇴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내 학자금 지원 제도가 '빛 좋은 개살구'란 푸념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