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는 지난달 12일 발표한 약가제도 개편과 제약산업 선진화방안의 세부 추진방안을 논의한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지식경제부·식품의약품안전청 등 관련 정부 부처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유관기관, 한국제약협회·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대웅제약·동아제약 등 제약산업발전협의회 위원이 참석한다.
한미약품·녹십자·유한양행·비씨월드제약 등 제약사 최고경영자(CEO)와 IBK 투자증권 리서치 센터장 등 민간전문가가도 참석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약가우대 방안으로 기존에 발표한 혁신형 제약기업의 제네릭 의약품(복제약)에 대한 약가우대책 외에 신약 및 개량신약의 약가 우대 방안이 보고될 전망이다.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신용보증기금 특례 지원,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채권담보부증권(CBO) 발행 등도 제시된다.
최원영 차관은 “약가제도 개편·제약산업 선진화 방안이 국내 제약산업을 연구중심의 선진적 구조로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긴 하나 단기적으로는 연간 2조1000억원의 손실 발생이 예상되는 만큼 연구개발 투자가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대응방안 마련하고자 회의를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