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투자은행,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 하향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대부분의 외국계 투자은행들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외국계 투자은행과 국내증권사,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UBS를 비롯한 9개 외국계 투자은행이 제시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4.0%로 한 달 전의 4.2%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한국의 이같은 전망치는 아시아 분석 대상 10개국 중에서 태국(3.9%)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전망치가 가장 높은 곳은 중국으로 9.1%이며 이어 홍콩 5.6%, 인도네시아 6.4%, 대만 4.9% 순으로 조사됐다.

투자은행별로는 모건스탠리가 지난달 26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5%에서 3.8%로 0.7%포인트, UBS는 3.8%에서 3.3%로 0.5%포인트 내렸다.

특히 UBS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과 대만을 지목하며 “세계 경기에 가장 취약한 시장”임을 강조하고 주식시장 투자 의견도 ‘비중축소’를 유지했다.

씨티는 4.3%에 3.7%로, 골드만삭스는 4.3%에서 4.2%로 각각 낮췄다.

외국계 투자은행들은 이처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평균 4.0%에서 4.2%로 올렸다.

국내 증권 업계에서도 소비자물가가 상승세를 지속해 4%를 꾸준히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국내 상장사 이익은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가 실적을 추정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 106곳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 평균치(K-IFRS 연결기준)는 6월 초 이후 3개월 만에 11.70% 낮아졌다.

이들 기업의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 합계는 ▲6월 초 106조7940억원 ▲7월 초 102조6253억원 ▲8월 초 97조5879억원 ▲9월 초 94조3024억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유틸리티 영업이익 전망치가 6월 초에 비해 38.2% 줄었고, 통신서비스(-31.5%), IT(-28.2%), 에너지(-13.9%)가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