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위안부’ 양자협의 첫 공식제안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정부가 위안부와 원폭 피해자, 사할린 동포 문제와 관련해 한일 청구권협정상의 분쟁해결 절차를 근거로 일본 정부에 양자협의를 15일 공식 제안했다.
 
 헌법재판소가 위안부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촉구하는 결정을 내린 것과 관련해 정부가 공식 양자협의를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통상부 조세영 동북아국장은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 공사에게 이같은 제안 내용을 담은 구상서를 이날 전달했다.
 
 외교부 조병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8월 30일 헌재의 결정을 진지하고 엄중하게 받아들이는 차원에서 주한 일본 총괄공사를 외교부로 초치해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면서 “빠른 시일 내에 양자협의가 이뤄지고 이 문제에 대한 진지한 협의가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제안은 ‘협정의 해석 및 실시에 관한 양국 간 분쟁은 우선 외교상의 경로를 통해 해결하며, 이에 실패했을 때 중재위원회에 회부한다’는 한일 청구권 협정 3조에 근거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는 그동안 위안부 문제가 1965년 한ㆍ일 청구권 협정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갖고 일본 측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를 해왔다”면서 “헌재의 결정이 내려진 만큼 청구권협정상의 분쟁해결 절차에 근거해 공식 협의를 하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제안에서 대일 청구권에 위안부와 원폭 피해자, 사할린 동포의 배상청구권이 포함되는지에 대해 양국 간 해석 차이가 존재하는 만큼 이를 논의하기 위한 공식 양자협의를 개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개인 배상청구권이 소멸됐다는 입장이어서 양자협의 개최에 동의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일본이 제안을 거부할 경우 청구권 협정에 근거한 중재위원회 구성을 일본에 제안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수위를 높여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