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는 21일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수요사장단회의에 참석해 2012년 경제전망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정기영 소장은 "한국경제는 올해 성장 둔화를 지나 내년에도 저성장으로 갈 것"이라며 "올 성장률이 4.0%였는데 내년은 3.6%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성장세 둔화 원인으로는 주 성장동력인 '수출'이 세계 경기 둔화로 증가세가 위축될 것이고, 보조 동력인 '내수' 역시 수출 둔화를 보완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예비동력인 '정부'의 경기 부양 여력 또한 많이 약화됐다는 설명이다.
부문별로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하면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4.2% 떨어지는 점을 고려해 전통적인 수출 산업인 자동차·석유화학이 주춤하고, 반도체는 올해가 바닥을 쳤기 때문에 내년에는 약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 소비는 올해 2.8% 증가에서 내년 2.7% 증가로 다소 부진하고 물가상승률도 3.4%로 둔화된 반면 서비스 가격은 올라갈 것으로 봤다.
금리는 4.5%에서 4.3%로 하락하고 원화는 올해 평균 1093원에서 내년 1060원으로 강세를 보이고 국제 유가는 올해 배럴당 105달러에서 내년 90달러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세계 경제 성장률도 올해 3.8%에서 내년에는 3.5%로 둔화될 전망이다.
선진국과 신흥국으로 나눠보면 미국은 작년보다 0.2% 포인트 하락한 1.3%, 유로지역은 0.8%, 일본은 1.7% 성장률을 기록하고 신흥국은 5.6%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유가는 올해 105달러에서 내년에는 90달러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일본은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되지만 성장동력은 미약하고, 선진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수출은 둔화하겠지만 내수가 성장세를 지지할 것"이라며 "내년에도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경영환경이 예상되기 때문에 금융불안·실물경제 냉각을 대비한 경영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위기 재발방지를 위한 대비 체계를 구비하고 저성장 환경속에서도 지속성장이 가능한 경영체제를 확립해야 한다"며 "또한 자국기업 보호를 위한 세계 각국의 규제 강화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도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